영화/국내

봉준호 영화 기생충의 천재 : 여느 영화와 다른 영화적 경험

the_standard_of_consumption 2023. 3. 29. 11:55

봉준호 영화 기생충의 천재 : 여느 영화와 다른 영화적 경험

그 안에 숨어있는 여러 가지 장면의 속 의미를 파헤쳐 보자

 

1. 와이파이

기택(송강호) 가족이 지하 아파트에서 와이파이 신호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오프닝 장면. 핸드폰 요금을 납부하지 못해서 핸드폰이 끊기게 되고 윗집 와이파이를 잡기위해 노력하는 장면이다 .   이 장면은 사회적 계급과 불평등의 주제를 확립하고, 김씨 부부가 사회의 나머지 부분과 단절된 것을 강조한다.

2. 기우(최우식) 친구가(박서준) 가져다준 돌

기우(최우식)의 친구(박서준)가 그에게 부와 번영을 가져다 줄 돌을 주는 장면. 이 장면은 가난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느끼는 절망과 희망, 그리고 행운과 미신이 대처의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나타낸다.

3. 대학교 합격증 위조

기우(최우식)가 부잣집 동익(이선균) 집안으로 과외하기 위해 기정이(박소담)가 기우(최우식) 대학 졸업장과 추천서를 위조하는 장면. 이 장면은 사회적 향상을 위한 사다리를 오르기 위해 필요한 부정직함과 기만을 나타내며, 성공을 위해서는 편법도 마다하지 않는 모습을 통해 성공한자들에 보이지않는 모습도 보여준다 생각한다.

4. 가정부 해고

기정(박소담)이 치료사 행세를 하며 박 여사(조여정)를 설득해 전 가정부(이정은)를 해고하는 장면. 이 장면은 부자들에게 신뢰의 조작과 착취, 그리고 평생 남을 부릴 줄만 아는 부자들이 부림 당하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쉽게 휘둘릴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5. 지하실 존재

기우가 파크스의 지하실에서 숨겨진 벙커를 발견하는 장면. 이 장면은 부유한 엘리트들의 어두운 뒷모습과 외부 세계에 대한 그들의 두려움을 나타낸다. 불평등을 영구화하는 숨겨진 사회적, 경제적 구조에 대한 은유로도 작용한다.

6. 인디언텐트와 홍수

비와 홍수 장면은 사회의 빈부의 극명한 대조를 은유한디. 부유한 박씨 가족은 비로부터 보호받으며 호화로운 집에서 편안하게 사는 반면, 가난한 김씨 가족은 폭우가 내릴 때 침수되는 반지하 아파트의 가혹한 환경을 견딜 수밖에 없다. 게다가, 그들의 넓은 정원에서 인디언 텐트에서 캠핑하는 장면은 단지 재미로 다른 생활 방식을 경험할 여유를 보여주며 그들의 특권과 부를 강조한다. 대조적으로, 김씨 가족은 비좁고 낡아빠진 아파트에서 생활하는데, 장난으로 즐기는 저 비로 모든것이 다 무너져 내린다.
비는 계속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 이 장면은 상류층에게는 아무렇지도 않은 비가 하층민으로 계속 내려가면서 감당할수없는 크나큰 재앙으로 다가온다.

 

전반적으로, 기생충의 비와 홍수 장면은 사회의 극명한 불평등과 계급 격차, 그리고 가난하게 사는 사람들이 종종 체계적인 불평등과 방치의 결과를 겪게 되는 방식을 강력하게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7. 기정이의 죽음

기정이(박소담)가 박씨네 파티에서 죽는 장면. 이 장면은 그들의 지위를 넘어서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 지불하는 궁극적인 대가를 나타내며, 사회적 이동성은 종종 불가능한 꿈이라는 생각을 나타낸다.

8. 김씨(이선균) 코막음

‘기생충’에서 ‘냄새’는 인상적인 소재이다. 기택(송강호) 특유의 ‘스멜’은 운전석에서 동익(이선균)의 뒷자리까지 넘어간다. “선을 넘을 듯 말 듯 하면서 절대 안 넘는” 기택이지만, 냄새만큼은 어쩔 수 없다. 기택 자신이 그 냄새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동익의 표현에 의하면 “아주 오래된 무말랭이 냄새” 혹은 “행주 삶을 때 나는 냄새”다. 좋게 말하면 서민의 체취? 실상은 하층민의 악취를 의미한다.

9. 기택의 분노

기택(송강호)이 박씨를 찌르는 장면. 이 장면은 폭력이 권력과 통제를 주장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생각뿐만 아니라 억압과 착취를 당한 사람들이 느끼는 분노와 좌절을 대변한다. 아이러니하게도 부자들이 가장 관심을 많이주고 많은 시선을 가져다준게 폭력이라는걸 표현한다.

10. 엔딩

이 장면은 계급과 사회적 지위가 세계에 대한 우리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한 은유로 해석될 수 있다. 특권을 누리는 부유한 사람들은 삶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반면, 불행한 사람들은 고통과 고통을 겪어야 한다. 눈 그 자체는 또한 세상의 가혹하고 용서할 수 없는 본성 혹은 아름답고 파괴적일 수 있는 방식의 상징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것은 우리 모두가 더 큰 사회적, 환경적 힘에 의해 좌우되는 사회와 고통을 받는 사람들의 투쟁을 인식하고 인정하는 것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다.